
일반적으로 대출을 갚는 방식은
‘원금 균등 상환’, ‘원리금 균등 상환’,
‘만기 일시 상환’ 세 가지로 구분됩니다.
상환방식에 따라 장단점이 분명하게 있어
본인의 상황에 맞는 방식을 선택하여
계획을 세우는 것이 필요합니다.
1. 원금균등상환 방식
매달 원금을 대출기간 동안 일정한 금액으로
상환하는 방식이며, 세 가지 상환 방식 중에서
가장 이자 부담이 적습니다.
초기 상환부담이 큰 대신 만기에 가까워질수록
납부하는 이자와 상환액이 줄어드는 특징이 있고,
매월 갚아야 할 상환액이 변동되기 때문에
지출 계획을 세울 때 번거로울 수 있다는 점은
참고해야 합니다.
2. 원리금균등상환 방식
주택담보대출 갚을 때 가장 보편적으로
쓰이는 방식으로, 원금과 이자를 더한 금액을
만기일까지 매월 균등하게 갚는 방식입니다.
시간이 지날수록 상환금에서
납입원금 비율이 증가하며 이자가 감소하는
개념이기 때문에 대출 초기에는 비율이 낮은
원금으로 인하여 원금균등상환보다 총이자금액이
더 높다는 단점은 있습니다.
그러나 갚아야 하는 금액이 매월
일정하기 때문에 편리하다는 장점 도 있습니다.
3. 만기일시상환 방식
대출을 받은 뒤, 만기일까지
매월 이자만 상환 하다가 만기에 대출 원금 전액을
한꺼번에 갚은 방식입니다.
초기에는 원금을 갚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
부담이 적지만 만기 때 목돈이 필요하며,
세 가지 상환 방식 중
총 이자 부담액이 가장 큰 단점이 있습니다.
앞에서는 주택담보대출
상환방식을 알려 드렸는데요.
이처럼 금융소비자들이 상환방식에 민감한 이유는
대출원금, 상환기간, 금리 등 조건이 동일하더라도
상환 방식에 따라 은행에 내야 하는
이자 총액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.
예를 들어 대출원금 1억원,
상환기간 10년(120개월),
금리 연 3% 기준으로 대출한다고 가정한다면
상환 방식별 총 이자비용은
만기일시상환 시 3,000만원,
원금 균등 분할 상환 시 1,513만원,
원리금 균등 분할 상환 시 1,587만원입니다.
이자율 낮은 순위
원금균등상환 < 원리금균등상환 < 만기일시상환
때문에 원금균등상환 방식은
이자비용을 아끼고 싶거나,
꾸준한 수익이 있을 때에 잘 맞는데요.
원리금균등상환 방식은 매월 고정금액을
갚아나가길 원하면서 월급이 일정한
직장인에게 적합합니다.
만기일시상환 방식은 만기일까지
자금을 자유롭게 사용하고 싶거나
수익성 있는 투자를 계획한 경우,
혹은 일시 상환에 큰 부담이 없는
소액 신용대출에 적합합니다.
'이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맥도날드 주차 레전드 용인 수지 (0) | 2023.02.14 |
---|---|
이엔지윈드 친환경에너지 투자 무엇!? (1) | 2023.01.27 |
대출 이자 줄이는 방법 4가지 (0) | 2022.12.27 |
채무통합대환대출 가능한 조건 알아보자! (0) | 2022.08.31 |
후순위아파트담보대출 LTV95% 규제지역 아파트 시세별 (0) | 2022.08.30 |